"시장님 꿈 위해 SH가 보증"… 야당 파고들자 드러난 한강버스의 민낯

논란의 핵심은 사업의 재정 구조, 특히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의 역할에 집중됐다.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은 SH공사가 민간 운영사인 이크루즈에 876억 원이라는 거액을 대출해주고, 은행 대출에 대해서는 사실상의 보증 역할을 하는 '컴포트레터(Comfort Letter)'까지 제공한 것은 명백한 특혜이자 위법 소지가 있다고 주장했다. 이크루즈는 고작 49억 원을 출자했을 뿐인데, 사업 실패 시 모든 부담을 SH공사, 즉 서울시가 떠안게 되는 구조라는 것이다. 전용기 의원은 "결국 오세훈의 서울시가 한강버스를 다 소유했다고 봐도 무방하다"고 꼬집었고, 이건태 의원은 지방공기업법상 채무 보증이 금지된 점을 들어 "보증도 안 되는데 876억 원을 대출한 것은 위법 아니냐"고 따져 물었다.

이에 대해 오 시장은 한강버스가 단순 운항 수입이 아닌, 선착장과 연계된 부대시설 및 광고 수입이 주가 되는 사업 모델이기에 2~3년 안에 흑자 전환이 충분히 가능하다고 맞섰다. 그는 "불과 9일 운행에 2만 7000명이 탑승했다"며 예상보다 훨씬 높은 초기 이용률을 근거로 제시했다. 또한 SH공사의 대출은 법적으로 상환받을 방법이 강구되어 있으며, 은행 대출 역시 선박 자체가 담보로 잡혀있어 문제가 없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다만 SH공사가 은행에 컴포트레터를 제공했는지 등 구체적인 경영 상황에 대해서는 "SH공사와 민간기업이 공동 출자한 사업이라 구체적인 경영에 관여하지 않는다"며 한발 물러서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안전성 문제 역시 주요 쟁점이었다. 천준호 의원은 정식 운항 허가 전 시범 운영 과정에서 발생한 문제점들을 제대로 확인하고 조치하지 않은 채 성급하게 운항을 시작했다고 비판했다. 최근 승객 없이 운항하는 '무탑승 운행' 결정 역시 사실상 운항 중단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왔다. 오 시장은 "안전상에 문제가 없다는 보고를 받았다"고 일축하며, 고장 기록 등 실무적인 문제에 대해서는 "실무자 차원에서 할 일이 있고 시장 차원에서 할 일이 있다"고 선을 그었다. 또한 무탑승 운행 결정은 서울시가 일방적으로 내린 것이 아니라 민간 운영사의 건의를 받아들인 것이라며, 사업 운영의 주체는 민간 회사임을 재차 강조했다.
- 로또 용지 찢지 마세요. 사람들이 모르는 3가지!!
- 서울 전매제한 없는 부동산 나왔다!
- 월수익 3000만원 가능하다!? 고수입 올리는 이 "자격증"에 몰리는 이유 알고보니…
- 일자리가 급급하다면? 月3000만원 수익 가능한 이 "자격증" 주목받고 있어..
- "관절, 연골" 통증 연골 99%재생, 병원 안가도돼... "충격"
- 공복혈당 300넘는 '심각당뇨환자', '이것'먹자마자
- "농협 뿔났다" 로또1등 당첨자폭주.. 적중률87%
- "한국로또 뚫렸다" 이번주 1등번호.."7,15…"
- "부동산 대란" 서울 신축 아파트가 "3억?"
- 비트코인으로 4억잃은 BJ 극단적 선택…충격!
- "서울 동작구" 집값 상승률 1위…이유는?
- 한의사 김오곤 "2주 -17kg 감량법" 화제!
- “고양시 지식산업센터” 1년후 가격 2배 된다..이유는?
- 10만원 있다면 오전 9시 주식장 열리면 "이종목" 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