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하는 노인들, 10명 중 7명 "금으로는 생계 불가"

전체 고령층(55~79세) 인구는 1644만7000명으로 전년 대비 46만4000명 늘어났다. 이 가운데 취업자는 978만 명으로, 1년 전보다 34만4000명 증가해 고용률은 59.5%, 경제활동참가율은 60.9%로 각각 0.5%포인트, 0.3%포인트 상승했다. 이는 고령층의 노동시장 참여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을 뜻하며, 두 수치 모두 역대 최고 수준이다.
산업별로는 고령층 취업자들이 보건·사회복지 분야(13.7%)와 제조업(12.5%)에 집중되어 있다. 직업군별로는 단순 노무 종사자가 22.6%로 가장 많았고, 서비스 종사자가 14.5%를 차지했다. 반면 관리자와 사무직은 각각 2.1%, 8.3%로 상대적으로 적은 비율을 보였다. 이는 고령층 노동자가 육체노동이나 단순 서비스직에 주로 종사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하지만 고령층 상당수가 현재 직장을 계속 다니지 못하는 현실도 드러났다. 가장 오래 근무한 일자리를 여전히 다니고 있는 고령층은 30.1%에 불과하며, 69.9%는 그만둔 상태다. 평균 퇴직 연령은 52.9세로 비교적 이른 편이다. 퇴직 사유로는 사업 부진, 조업 중단, 폐업 등 경제적 이유가 25.0%로 가장 많았고, 건강 문제(22.4%)와 가족 돌봄(14.7%)이 뒤를 이었다.
특히 고령층 중 절반가량만이 연금을 받고 있으며, 연금 수령자의 월평균 연금액은 86만원에 그친다. 이는 국민연금연구원이 작년 발표한 1인 기준 노후 최소생활비 136만1000원의 63% 수준에 불과하다. 연금만으로는 생활이 어려운 현실이 고령층의 노동시장 잔류를 부추기고 있다는 분석이다.
실제로 고령층 중 앞으로도 계속 일하기를 원하는 비율은 69.4%에 달해 10명 중 7명에 이른다. 이는 작년과 동일한 최고치로, 고령자들이 경제적 이유뿐 아니라 사회적, 심리적 이유로도 노동시장에 머무르기를 희망한다는 점을 보여준다. 고령층의 장래 근로 희망 연령은 평균 73.4세로, 1년 전보다 0.1세 상승하며 관련 통계 집계 이래 가장 높았다.
근로 희망 사유는 ‘생활비 보탬’이 54.4%로 가장 많았고, ‘일하는 즐거움’(36.1%), ‘무료함 해소’(4.0%), ‘사회적 필요성’(3.1%), ‘건강 유지’(2.3%) 등이 뒤를 이었다. 희망하는 월평균 임금 수준은 300만 원 이상이 21.5%, 200만 원~250만 원 구간이 19.4%로 많았다. 300만 원 이상 희망 비중은 지난해보다 2.2%포인트 증가하며 고령층의 임금 기대가 점차 높아지는 추세를 반영했다.
이번 조사 결과는 고령화가 심화되는 사회에서 연금 수급의 한계와 노동시장 내 고령층의 역할 변화, 그리고 경제적 자립의 필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정부와 사회는 고령층의 경제활동을 지원하는 한편, 연금 제도 개선과 건강 관리, 재취업 기회 확대 등 다각적인 정책 마련이 요구된다. 동시에 고령층이 원하는 수준의 임금과 노동 환경을 제공하는 것도 중요한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 50대 부부 한알 먹고 침대에서 평균횟수 하루5번?
- 72억 기부한 미녀 스님, 정체 알고보니..충격!
- 로또용지 뒷면 확인하니 1등당첨 비밀열쇠 발견돼
- 역류성식도염 증상있다면, 무조건 "이것"의심하세요. 간단치료법 나왔다!
- 폐섬유화 환자 98% 공통된 습관 밝혀져…충격
- [화제] 천하장사 이만기의 관절튼튼 "호관원" 100%당첨 혜택 난리나!!
- "농협 뿔났다" 로또1등 당첨자폭주.. 적중률87%
- "한국로또 뚫렸다" 이번주 1등번호.."7,15…"
- 개그맨 이봉원, 사업실패로 "빛10억" 결국…
- 한의사 김오곤 "2주 -17kg 감량법" 화제!
- "빠진 치아" 더 이상 방치하지 마세요!!
- 월3천만원 수입 가져가는 '이 자격증' 지원자 몰려!
- 죽어야 끊는 '담배'..7일만에 "금연 비법" 밝혀져 충격!
- 120억 기부자 "150억 세금폭탄"에 울면서 한 말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