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은 늘고 이혼은 28년 만에 최저... '저출산 공포' 마침내 끝나나?

5월 한 달간의 출생아 수는 2만1922명으로, 전년 동월(1만9567명) 대비 741명(3.8%) 증가했다. 이는 5월 기준으로는 2011년 5월(5.3%) 이후 14년 만에 가장 높은 증가율이며, 증가 폭으로는 2015년 5월(785명) 이후 10년 만에 가장 큰 수치다. 출생아 수는 현재 11개월 연속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어 인구 감소 추세에 변화가 생길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출생아 증가의 주요 배경에는 혼인 건수 증가가 자리하고 있다. 5월 혼인 건수는 2만1761건으로 전년 동월 대비 840건(4.0%) 증가했다. 1월부터 5월까지의 누적 혼인 건수 역시 9만9386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7%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이혼 건수는 눈에 띄게 감소했다. 5월 이혼 건수는 7413건으로 지난해보다 510건 줄었으며, 이는 1997년 5월(7437건) 이후 28년 만에 가장 낮은 수치다. 혼인은 늘고 이혼은 줄어드는 현상이 출생아 수 증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출생아 증가에 따라 5월 합계출산율도 0.75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0.02명 증가했다. 합계출산율은 여성 1명이 가임기간에 낳을 것으로 기대되는 평균 출생아 수를 의미하는데, 2023년 0.72명까지 하락했다가 지난해 0.75명으로 9년 만에 반등했다. 현재의 증가 추세가 계속된다면 올해 합계출산율은 0.80명까지 상승할 가능성도 있다.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관계자는 "출생아 증가에는 지난해부터 이어진 혼인 증가와 정부·지방자치단체의 출산 지원 정책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는 그동안 정부와 지자체가 추진해온 다양한 출산 장려 정책들이 일정 부분 효과를 거두고 있음을 시사한다.
인구 감소 추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출생아 수 증가와 합계출산율 반등은 인구 문제 해결에 희망적인 신호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다만 전문가들은 여전히 한국의 출산율이 OECD 국가 중 최하위 수준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지속적인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결혼 증가와 출산율 상승이 일시적 현상이 아닌 장기적 추세로 이어질 수 있도록 사회적, 경제적 지원 체계를 더욱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 "공복혈당" 300넘는 심각 당뇨환자 '이것' 먹자마자..바로
- 50대 부부 한알 먹고 침대에서 평균횟수 하루5번?
- 도박빚 10억 여배우K양 '이것'후 돈벼락 맞아..
- 로또 용지 찢지 마세요. 사람들이 모르는 3가지!!
- 빚더미에 삶을 포가히려던 50대 남성, 이것으로 인생역전
- 월3000만원 벌고 싶으면 "이 자격증"만 따면 된다.
- 인삼10배, 마늘300배 '이것'먹자마자 "그곳" 땅땅해져..헉!
- 주름없는 83세 할머니 "피부과 가지마라"
- 코인 폭락에.. 투자자 몰리는 "이것" 상한가 포착해! 미리 투자..
- "한국로또 뚫렸다" 이번주 1등번호.."7,15…"
- 목, 어깨 뭉치고 결리는 '통증' 파헤쳐보니
- 이만기의 관절튼튼 "호관원" 100%당첨 혜택 난리나!!
- “고양시 지식산업센터” 1년후 가격 2배 된다..이유는?
- 10만원 있다면 오전 9시 주식장 열리면 "이종목" 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