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마 뒤 '감염병 댄스 파티'에 초대합니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장마철 이후에는 콜레라, 장티푸스, 세균성이질, 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 등 물을 통해 전파되는 수인성·식품매개 감염병 위험이 특히 높다. 침수된 하수나 오염된 지하수가 식수원이나 식자재에 유입될 경우 집단 식중독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고온다습한 환경은 병원성 미생물 증식에 최적의 조건을 제공하며, 이는 곧 감염병 확산의 지름길이 된다.
또한 고인 물이 늘어나면서 일본뇌염의 주요 매개체인 '작은빨간집모기' 번식이 급증해 일본뇌염 유행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 질병청은 이미 올해 일본뇌염 주의보를 예년보다 일찍 발령했으며, 전국 곳곳에서 모기 밀도 급증이 확인되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냉각탑, 대형 샤워시설 등에서 번식하는 레지오넬라균은 미세한 물방울(에어로졸) 형태로 퍼져 호흡기 감염을 유발하며, 특히 노약자나 면역저하자에게 치명적일 수 있다. 매년 여름철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식중독균인 살모넬라, 장염비브리오, 노로바이러스 등도 고온 환경에서 증식해 불완전하게 익힌 음식이나 오염된 물 섭취 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침수 지역 복구 작업 중에는 피부 상처를 통한 감염 위험도 높다. 쥐 소변에 오염된 물이나 흙을 통해 감염되는 렙토스피라증, 녹슨 철물이나 흙에 있는 파상풍균으로 인한 파상풍 등이 대표적이다. 질병청은 복구 작업 시 장화, 장갑 등 개인 보호구 착용과 상처 발생 시 즉시 소독할 것을 강조하며, 파상풍 예방접종 여부 확인도 당부했다.
감염병 예방을 위해서는 흐르는 물에 비누로 손을 30초 이상 씻고, 음식은 반드시 익혀 먹으며, 생수나 끓인 물을 마셔야 한다. 침수되거나 변질 가능성이 있는 식자재는 즉시 폐기하고, 모기 기피제 사용 및 야외활동 시 긴 옷 착용도 중요하다. 냉방기기 정기 점검과 개인위생 수칙 준수가 감염병 확산을 막는 가장 기본적인 방안이다.
- "공복혈당" 300넘는 심각 당뇨환자 '이것' 먹자마자..바로
- 50대 부부 한알 먹고 침대에서 평균횟수 하루5번?
- 도박빚 10억 여배우K양 '이것'후 돈벼락 맞아..
- 먹자마자 묵은변 콸콸! -7kg 똥뱃살 쫙빠져!
- 주름없는 83세 할머니 "피부과 가지마라"
- 한달만에 "37억" 터졌다?! 매수율 1위..."이종목" 당장사라!
- 환자와 몰래 뒷돈챙기던 간호사 알고보니.."충격"
- "관절, 연골" 통증 연골 99%재생, 병원 안가도돼... "충격"
- "부동산 대란" 서울 신축 아파트가 "3억?"
- "서울 동작구" 집값 상승률 1위…이유는?
- 월3천만원 수입 가져가는 '이 자격증' 지원자 몰려!
- 2021년 "당진" 집값 상승률 1위..왜일까?
- “고양시 지식산업센터” 1년후 가격 2배 된다..이유는?
- 죽어야 끊는 '담배'..7일만에 "금연 비법" 밝혀져 충격!